모니터링이란?
시스템 문제를 찾아서 해결하기 위한 행위이다.
시스템 문제란 서비스의 실행 중단, 파일 시스템 공간 부족, 응용 프로그램이 예외를 발생 시켜 시스템 문제 등이 있다.
서버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는 성능 문제를 해결 하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모니터링도구
- 작업 관리자 - 컨트롤 + 쉬프트 + ESC 또는 윈도우 실행에서 taskmgr
- 시스템 프로세스와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도구
- 프로세스,성능,사용자, 세부정보, 서비스 탭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다
- 이벤트 뷰어 - 윈도우 실행에서 eventvwr.msc
- 안전성 및 성능 모니터링 - 윈도우 실행에서 perfmon.msc
- 성능 튜닝을 위한 도구
- 그 외
모니터링 준비
모니터링을 준비하기 위한 몇 가지들이 있다.
- 성능 매트릭(측정 기준치) 수립
- 어느 서버 이벤트를 모니터링 할 것인지 결정
- 필터 설정
- 성능 카운터를 구성 (서버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측정하는 요소)
- 이벤트 데이터를 로깅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준비
- 이벤트 데이터 분석
성능 모니터
선택된 성능 매개 변수들의 통계 정보를 그래픽적으로 표시한다.
추적하고 있는 성능 카운터들은 막대 그래프로도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이 추적 값들은 로그파일로 저장이 가능하다
성능 로깅
데이터 수집 집합이란 추적하고자 하는 성능 개체와 카운터에 대한 집합을 정의한다.
접근 제어를 할당하거나 여러 개의 실행 스케줄과 중지 조건 생성등의 기능이 가능하며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한 보고서를 생성한다.
데이터 수집기 집합에서 새로 만들기를 눌러 System Diagnostics 템플릿을 이용해보면 다음과 같은 시스템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다.
공통 성능 측정 항목
공통적으로 성능 측정을 하는 항목들이 존재한다.
- Cache
- Memory
- Objects
- Paging file
- Physical disk
- Process
- Processor
- Server
- System
- Thread
성능 개체 측정
이제 서버 역할 성능 매트릭을 식별하고
- 주요 성능 카운터
- 기본 CPU 성능 카운터
- 기본 메모리 성능 카운터
- 기본 디스크 성능 카운터
- 기본 네트워크 성능 카운터
를 추가하여 측정한다.
서버역할 성능 매트릭
서버 역할 | 성능 개체 |
Active Directory service |
NTDS |
DNS Server |
DNS |
IIS |
TCP IIS Global |
파일서버 |
Memory Local Disk |
주요 성능 카운터 식별
- 시간 값 카운터
- 실시간 값
- 지난 초 평균
- 초당 수
- 최대값
- 최소값
- 평균값
- 마지막으로 다시 시작한 이후의 총계
CPU,메모리,디스크 성능 카운터
기본 네트워크 성능 카운터
- 초당 받은 바이트 수
- 초당 보낸 바이트 수
- 초당 받은 패킷 수
- 초당 전송 된 패킷
- 출력 대기열 길이
- 패킷 수신 오류
- 패킷 발신 오류
'OS & Server > 윈도우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tive Directory 개체에 대한 관리 액세스 권한 위임 (0) | 2020.02.09 |
---|---|
그룹 정책(2) (0) | 2020.02.09 |
그룹 정책 (1) (0) | 2020.02.09 |
RAID (Redundant Arrays of Independent Disks) (0) | 2020.02.09 |
Disk 관리 (0) | 2020.02.08 |